미야자키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야자키현 선거구는 일본 참의원 의원 선거구로, 미야자키현 전역을 관할한다. 의원 정수는 2명이며, 2022년 9월 기준 유권자 수는 896,495명이다. 역대 선거에서 자유민주당, 사회당, 무소속 후보 등이 당선되었으며, 2022년 제26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의 마쓰시타 신페이가 당선되었다. 최근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2년 제26회 선거에서 마쓰시타 신페이, 2019년 제25회 선거에서 나가미네 마코토, 2016년 제24회 선거에서 마쓰시타 신페이가 각각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야자키현의 선거구 - 미야자키현 제2구
미야자키현 제2구는 규슈에서 가장 넓고 전국에서 15번째로 넓은 중의원 의원 선거구로, 노베오카시, 휴가시 등을 포함하며 자유민주당 에토 가문이 강세를 보이는 지역이나, 최근 선거에서는 국민민주당 후보도 선전했다. - 미야자키현의 선거구 - 미야자키현 제3구
미야자키현 제3구는 미야코노조시, 니치난시 등을 포함하는 중의원 선거구로, 1996년 설치 이후 자유민주당 강세 지역이었으나 무소속 당선자가 자유민주당에 복귀하여 장기간 의원직을 유지하며 보수 정당이 우세한 가운데 진보 정당도 꾸준히 지지층을 확보하고 있다. - 일본 참의원 선거구 - 에히메현 선거구
에히메현 선거구는 에히메현 전체를 지역구로 하며, 참의원 의원 2명을 선출하고, 2022년 제26회 선거에서 야마모토 준코가 당선되었다. - 일본 참의원 선거구 - 와카야마현 선거구
와카야마현 선거구는 일본 참의원 선거구로서 와카야마현 전체를 관할하며 2명의 의원을 선출하고, 자유민주당의 지지 기반이 강한 지역이나 과거 선거 과정의 투명성에 대한 논란도 있었다.
미야자키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유형 | 의회 선거구 |
의회 | 참의원 |
![]() | |
선거구 위치 | 미야자키현 |
선거인 수 (2022년 9월 기준) | 887,608명 |
설치 년도 | 1947년 |
의석 수 | 2석 |
의원 | 2019년 임기: 나가미네 마코토 (자민당) 2022년 임기: 마쓰시타 신페이 (자민당) |
지리 정보 |
2. 선거구 정보
지역 | 미야자키현 전역 |
---|---|
의원 정수 | 2명 (개선 정수 1명) |
유권자 수 | 896,495명 (2022년 9월) |
2022년 7월 10일에 실시된 제26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19년 7월 21일에 실시된 제25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2016년 7월 10일에 실시된 제24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자유민주당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었다.
3. 역대 의원
선거 회 홀수 회 짝수 회 제1회 (1947년) 다케시타 도요지 (무소속) 시이 야스오 (일본사회당)[3] 제2회 (1950년) 미와 사다하루 (일본사회당) 제3회 (1953년) 다케시타 도요지 (녹풍회) 제4회 (1956년) 히라시마 도시오 (자유민주당) 제5회 (1959년) 후타미 진고 (자유민주당) 제5회 보궐 (1961년) 누쿠미 사부로 (자유민주당) 제6회 (1962년) 히라시마 도시오 (자유민주당) 제7회 (1965년) 누쿠미 사부로 (자유민주당) 제8회 (1968년) 히라시마 도시오 (자유민주당) 제9회 (1971년) 누쿠미 사부로 (자유민주당) 제10회 (1974년) 가미조 가쓰히사 (자유민주당) 제9회 보궐 (1976년) 사카모토 지카오 (무소속) 제11회 (1977년) 사카모토 지카오 (자유민주당) 제12회 (1980년) 가미조 가쓰히사 (자유민주당) 제13회 (1983년) 사카모토 지카오 (자유민주당) 제14회 (1986년) 우에스기 미쓰히로 (무소속) 제15회 (1989년) 노베쓰 다카토시 (일본사회당) 제16회 (1992년) 우에스기 미쓰히로 (자유민주당) 제17회 (1995년) 나가미네 모토이 (자유민주당) 제18회 (1998년) 우에스기 미쓰히로 (자유민주당) 제19회 (2001년) 고세히라 도시후미 (자유민주당) 제20회 (2004년) 마쓰시타 신페이 (무소속) 제21회 (2007년) 도야마 이쓰키[2] (무소속) 제22회 (2010년) 마쓰시타 신페이 (자유민주당) 제23회 (2013년) 나가미네 마코토 (자유민주당) 제24회 (2016년) 마쓰시타 신페이 (자유민주당) 제25회 (2019년) 나가미네 마코토 (자유민주당) 제26회 (2022년) 마쓰시타 신페이 (자유민주당)
4. 최근 선거 결과
2016년 선거에서는 자유민주당의 마쓰시타 신페이가 공명당의 추천을 받아 282,407표(62.04%)를 획득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의 요미탄 야오지 후보는 민진당, 사회민주당의 추천을 받았으나 152,470표(33.49%)를 얻는 데 그쳤다.[3] 요미탄 야오지는 2018년 1월 노베오카 시장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치러진 역대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4. 1. 2022년 (제26회)
후보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비고 |
---|---|---|---|
마쓰시타 신페이 | 자유민주당 | 200,565 (48.00%) | 공명당 추천 |
구로다 나나 | 입헌민주당 | 150,911 (36.12%) | 사회민주당 지지 |
구로키 아키미쓰 | 국민민주당 | 30,162 (7.22%) | |
이마무라 유키후미 | 참정당 | 15,670 (3.75%) | |
시라에 요시토모 | 일본공산당 | 12,260 (2.93%) | |
모리 다이치 | NHK당 | 8,255 (1.98%) |
[1]
2022년 7월 10일에 실시된 제26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자유민주당 후보이자 현역 의원인 마쓰시타 신페이가 200,565표(48.00%)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입헌민주당의 구로다 나나 후보는 사회민주당의 지지를 받아 150,911표(36.12%)를 얻어 2위를 기록했다. 그 외 국민민주당, 참정당, 일본공산당, NHK당 후보들이 출마했으나 득표율은 7.22% 미만에 그쳤다.
4. 2. 2019년 (제25회)
후보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나가미네 마코토 | 자유민주당 | 241,492 | 64.35 | 공명당 추천 |
소노우 유조 | 입헌민주당 | 110,782 | 29.52 | 사회민주당 추천, 국민민주당 지지 |
가와노 이치로 | 행복실현당 | 23,002 | 6.13 | |
합계 | 375,276 |
2019년 7월 21일에 실시된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에서 미야자키현 선거구(정수 1명)는 자유민주당의 나가미네 마코토 후보가 241,492표(64.35%)를 얻어 당선되었다.[2] 입헌민주당의 소노우 유조 후보는 110,782표(29.52%)를 얻는데 그쳤으며[2], 행복실현당의 가와노 이치로 후보는 23,002표(6.13%)를 얻었다.[2]
4. 3. 2016년 (제24회)
第24回参議院議員通常選挙|제24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일본어에서 미야자키현 선거구의 정수는 1명이었다. 2016년 7월 10일에 투표가 실시되었으며, 유권자는 936,443명, 투표율은 49.76%였다.참조
[1]
웹사이트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 Number of registered voters as of 1 September 2022
https://www.soumu.go[...]
2023-01-04
[2]
문서
2012年12月に[[第46回衆議院議員総選挙|衆議院議員総選挙]]出馬のため、議員失職(任期が翌年7月までのため補欠選挙は行われず欠員)。
[3]
문서
임기는 3년이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